김용현 국방부장관 후보자 청문회…'용산 이전·과잉 경호 논란·계엄'

황윤미 기자

sstpnews@gmail.com | 2024-09-02 16:30:10

▲김용현 국방부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김용현 국방부 장관 후보자의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가 주도한 대통령실 이전, 경호처장 시절의 '과잉 경호' 논란, 그리고 계엄과 관련해 여야가 공방을 벌였다.

대통령실 이전과 관련,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이 고도화됐다는 점을 거론해 "그런 미사일로 공격할 경우 과거 청와대에 있던 지하 벙커가 견뎌낼 수 있나"라며 안보·보안 측면에서 용산으로의 이전이 적절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직경 225m 안에 대통령실과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의 근무 시설이 함께 있다"며 "이 정도면 핵무기도 필요 없다. 북한이 무수히 가지고 있는 재래식 탄도 미사일 몇 발이면 국방부·합참이 초토화될 수도 있다. 후보자가 대통령 생존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자가 대통령경호처장이던 지난 2월, 경호처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소리를 지른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졸업생의 입을 틀어막으며 제지한 것을 두고도 여야는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은 "2020년 당시 문재인 대통령에게 신발을 투척한 사람에 대해 구속 영장까지 청구했었다"며 "매뉴얼에 의해서 경호를 하는 게 잘못됐나"라고 말했다.

민주당 황희 의원은 "이 정도 되면 대통령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심기 경호 수준"이라고 비판했다.

윤 대통령과 김 후보자가 졸업한 충암고 출신 장성들이 군 주요 보직을 차지하고, 여기에 김 후보자가 개입했다는 야권의 주장을 놓고도 여야는 충돌했다.

국민의힘 강선영 의원은 "수십만 장병이 지켜보고 있고 수십만 대 휴대전화가 군에 보급된 21세기 대한민국 군대에서 1% 수준의 충암고 출신 장군이 군을 장악하고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른다는 것이 가능한가"라고 따졌다.

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여인형 국군방첩사령관과 박종선 777사령관 등 충암고 출신 군 인사의 승진 과정에 김 후보자가 관여한 의혹이 있다며 "군이 후보자를 중심으로 사조직이 돼 버린다면 군이 제대로 돌아가겠나"라고 추궁했다.
 

▲김용현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김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의 '계엄 발동 가능성' 관련 질의에 "지금 대한민국 상황에서 과연 계엄을 한다고 하면 어떤 국민이 이를 용납하겠나. 우리 군에서도 따르겠나"라고 반문하며 "저는 안 따를 것 같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솔직히 계엄 문제는 시대적으로 안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너무 우려 안 하셔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장관 후보자께서 (계엄 발동 우려를) 일소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주시고 확실하게 말씀해달라"고 주문하자, "확실히 (계엄 발동 건의는) 없다"고 답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