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건희·김혜경부터 만나자" 제안…여론몰이용 '작전' 펼쳐질까

김건희 측에 제안한 첩보 내용 입수 '정치적 입지 늘리는데 도움 분명'

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3-10-20 17:55:21

▲김혜경 김건희 만남이 추진된다는 작전설이 등장했다 (사진합성=시사타파뉴스)

 

대통령 부인이지만 민간인 신분인 김건희 씨가 이재명 대표의 부인에게 만남을 제안할 수도 있다는 첩보가 등장했다. 

 

시사타파뉴스가 복수의 관계자를 통해 확인한 내용에 따르면, 김건희 씨의 정치적 입지 확대를 희망하는 소규모 모임이 김건희 씨의 측근에게 이 같은 내용을 제안했고, 긍정적으로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빠르면 해외 순방이 끝난 직후 제안한다"고 알려왔다. 

 

소통을 강조한 윤석열 대통령은 정작 중요한 대상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취임 후 한번도 만나지 않았다. 이 같은 분위기가 당장 달라질 것 같지 않은 가운데 "김건희·김혜경 미팅'은 국면 타개를 하는 반전을 꾀할 수도 있다는 것이 제보자측이 전한 내용이다. 

 

여권 중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이들은 20일 오찬 모임을 통해 이 같은 사항이 결정됐고 비공식 라인을 통해 김건희 씨 측에 보고됐다는 이야기를 나눴다. 그러면서 이는 결과와 상관없이 김씨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 민주, '김건희·김혜경 미팅'은 성사되지 않을 것이라 전망

 

총선의 바로미터인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패배후 대통령실과 여권의 분위기가 조금 달라지기는 했지만 당장은 영수회담 가능성이 낮은 가운데, 만약 이 정보대로 만남이 추진된다면 어떨지 민주당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지난 대선기간동안 김혜경 여사와 함께 한 국회의원 A씨는 "공인도 아닌 신분에서 만나자고 한들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만남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일부 여론은 제안 자체를 높이 평가할 수도 있겠지만 정치 문법상 맞지 않고, 현재 긴박한 정치 상황에는 더더욱 어울리지 않는다"라고 평가했다.

 

다른 민주당 3선 국회의원 B씨는 "김건희 측에서는 충분히 할 수도 있을 내용으로 본다"면서 "그렇지만 그건 그때가서 대처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B씨는 "워낙 말도 안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 정치 현실을 감안한다면 실제로 발생해도 전혀 놀랍지 않은 일이지만 이런 편법이나 꼼수가 나올 수도 있다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민주당 당직자 C씨는 제안이 실제 온다고 해도 민주당이 응할 이유가 없다면서도, "여론이 이를 활용해 김건희의 활동에 '성역은 없다'면서 마치 대단한 제안을 한 것처럼 부풀리면서 찬가를 부른다면 국면 전환에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 '김건희·김혜경 미팅' 결과에 상관없이 김건희에 유리?


김건희씨가 만남 제안을 할 것이라는 배경은 이렇듯 어차피 성사되기는 힘들지만, 제안 만으로도 국면 전환에 일정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정치적 입지를 넓혀줄 것이라는 판단이 들기 때문이다.

정말 영수회담이 필요하다 생각한다면 부인이 남편을 설득하면 될 일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럴 수 없는 상태이기에 직접 자신이 팔 걷어부치고 나서서 '어떻든 우리라도 만나보자'는 식의 제안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보는 이들이 있다. 

이를 제안한 그룹의 D씨는 "만나지 않겠다고 한다면 모처럼의 제안을 민주당이 거부한 꼴이 되기에 손해 날 것이 없다"면서 "만날 가능성은 제안그룹 쪽에서도 높게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만약 "흔쾌히 만나자고 한다면 김혜경 씨가 대화를 주도하게 놓아두고 가드를 내리고 몇 대 맞아서 오히려 대중의 동정을 받을 수 있다"면서 '성사만 된다면 손해없는 장사'라고 분석했다. 

실제 성사 여부는 물론, 어떤 형태로 제안이 있을지도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그렇지만 23일 이재명 대표가 복귀하고 나면 모든 정치권의 시선이 이 대표로 모일 것이며 민주당이 정국을 주도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 첩보가 현실로 일어난다면 한동안 뉴스의 중심은 '김건희'가 될 것이 분명하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를 국빈방문하는 윤 대통령 내외가 귀국하면 첩보가 사실인지 여부가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