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일 기자
hyunillee1016@gmail.com | 2024-09-09 17:52:53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임명 후 첫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일제시대 선조들의 국적은 일본’ 발언 관련 사과를 거부하며 퇴장당했다.
야당은 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 장관에 역사관과 국회 무시 발언, 현행법 위반 등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김 장관은 “제가 친일을 한다는 말씀은 여러 가지로 오해다. 국적 부분은 학술적으로 먼저 정리가 될 필요가 있는데, 국회에서 이 부분을 주고받으면 끝이 없고, 정치적 분쟁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학술적 연구와 토론, 발표들이 많이 일어나고 그 부분을 배경으로 해서 정치적 논의가 되기를 바란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러한 답변에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계속 회의를 해야 하는지 회의감이 든다”며 정회를 요청했다.
2시간 뒤 회의가 속개된 후 김 의원은 청문보고서 채택조차 되지 않은 김문수 후보자를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인정할 수 없다"며 안호영 환노위원장을 향해 “다시 한번 확실하게 입장을 물어보고 거기에 대해서 같은 답변이라면 퇴장 조치를 요청 드린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김 장관에게 “일제하 우리 선조 국적이 일본이었다는 장관 발언에 대해 철회하고 명확하게 사과할 의향이 있는가”라고 물었지만, 김 장관은 또다시 “혹시 무슨 문제가 있는지 더 공부하고 역사적 사실과 각계의 말씀에 대해 더 공부를 해서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다”며 사과를 거부했다.
김 장관이 기존 입장을 고수하자 야당 의원들은 "일본의 입장을 대변한다", "헌법을 부정한다"며 김 장관의 퇴장을 다시 요구했다.
안 위원장은 “장관의 발언으로 더 이상 회의를 진행하기 어렵다”며 국회법 49조(위원장의 직무)를 근거로 김 장관을 퇴장시키며 "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발언들은 조심해서, 충분히 영향을 고려해서 발언하는 것이 공직자의 바른 태도"라고 권고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반발하며 김 장관과 함께 퇴장했다.
상임위 도중 현직 장관에 대한 퇴장 명령은 최근에는 찾아보기 힘든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환노위는 김 장관 지명 이후 인사청문회와 이날 전체회의까지 소관 업무와 무관한 문제로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