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등 구금' 하려 했던 합참 B1벙커 현장조사..."50 여명 구금 검토"

내란 국조특위,12·3 비상계엄 주요 사건 현장 직접 방문 조사
합참 지휘통제실, 톡화 가능한데도 계엄 당일 녹화하지 않아
여인형,군사기밀수사실장 불러 "B1벙커 50여명 구금 가능 확인" 지시
국조 특위, 체포조 이재명 등 14명 공개됐으나 실제 검토 인원 훨씬 많아

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5-01-21 17:37:00

▲ 12.3 친위쿠데타의 주범 윤석열 김용현 여인형 충암파 (이미지=시사타파뉴스)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1일 합동참모본부와 수도방위사령부 등 12·3 비상계엄 당시 주요 사건 현장을 찾아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여야 위원들은 이날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합참 지휘통제실 내 결심지원실(결심실)과 계엄상황실, 수방사 B1 벙커 등을 찾았다.

합참 지휘통제실은 비상계엄 해제요구안 국회 가결 후 윤석열 대통령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회의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고, 수방사 B1 벙커는 계엄군에 체포된 정치인들의 구금 장소로 검토된 공간이다.

특위 여야 간사인 국민의힘 김성원·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은 현장 조사 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계엄 당시 B1 벙커에 50명가량을 구금하는 방안을 검토한 정황이 있었다는 내용의 조사 결과를 밝혔다.

한 의원은 “B1 벙커에서 주요 정치인을 구금하려 시도한 공간을 확인했다”며 “지난달 3일 오후 11시 30분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이 군사기밀수사실장을 불러 B1 벙커를 특정하며 50여 명 구금이 가능한지 확인하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한 의원은 “(김 전 장관 등의) 공소장엔 체포·구금 대상 주요 인물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등 14명이라고 돼 있지만, 실제 검토됐던 인원은 훨씬 더 많았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실제 부른 명단은 14명이었지만 B1 벙커의 최대 수용 가능 인원이 50여명이라고 보고되며 연락하게 된 것 같다”며 “방첩사 관계자가 (여 전 사령관에게) 구금 시설로 적절치 않다고 보고해 B1 벙커는 활용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고 했다.


▲ 21일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조특위 소속 국힘 김성원 의원 (왼쪽)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 (사진=연합뉴스)
특위는 계엄 당시 지휘부 회의가 이뤄진 합참 지휘통제실도 방문했다.

한 의원은 “현장에서 합참 지휘통제실은 녹화가 가능했음에도 (계엄) 당일에는 녹화 버튼을 누르지 않아 녹화 자료는 없었던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회견 내용과 관련해 “보안 등급을 확인하고 국민에게 알릴 수 있는 최대치를 발표한 것”이라며 “내일 청문회와 설 이후 2차 현장 조사 등이 예정돼있다. 실체적 진실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