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미 기자
sstpnews@gmail.com | 2024-06-21 16:00:10
21일 열린 '채 상병 특검법 입법청문회'에서 야당은 대통령실의 수사 외압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하며 특검법 추진의 당위성을 부각시켰다.
반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등 핵심 증인들은 용산 개입설이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법사위원들은 대통령실이 수사 외압 의혹에 개입한 정황들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며 사건의 정점에 윤 대통령이 있다고 몰아붙였다.
지난해 8월 군은 해병대가 경찰에 넘긴 기록을 찾아온 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을 혐의자에서 제외해 다시 경찰에 넘겼는데 이 과정에 윤 대통령의 개입이 있었다는 주장이다.
전현희 의원은 "대통령이 불법적으로 외압을 행사하고 수사 기록 탈취에 관여한 것이라는 강력한 암시를 여러 통화 내용이 웅변하고 있다"며 "사실이면 직권 남용 등으로 대통령 탄핵 사유가 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이 사건과 관련해 대통령과 이종섭 장관 등 55명의 3677건 문자와 통화 내용이 밝혀져야 순직 해병의 억울함이 밝혀질 수 있다"며 "채 해병의 청문회가 아니라 윤석열 청문회가 되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이어 "대통령이 나서 이 난리를 치니 항간에 임 전 사단장이 천공 스님이나 영부인하고 무슨 관계가 있나하는 낭설이 나오고 있는 것"이라며 "윤 대통령이 모든 사달 일으킨 것이다. 특검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변했다.
이성윤 의원은 "오늘 청문회에 반드시 출석해야 할 증인이 1명 있다. 지난해 8월 2일 그 사람 때문에 모든 것이 뒤집힌다"며 "그 사람은 바로 윤 대통령"이라고 공세를 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도 윤 대통령이 핵심 피의자라고 가세했다.
박 의원은 "청문회에 혐의자 축소에 따른 직권 남용 의혹을 받는 '형사 피의자'이자 핵심 증인인 대통령 윤석열이 참석하지 않았다"며 "마지막 퍼즐에 대해 제대로 된 진상 규명이 될지 우려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증인으로 출석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도 진상규명은 특검이 답이라며 야당 의원들의 주장에 동조했다.
박 전 단장은 "절차대로, 법대로, 규정대로 진행하면 될 일인데 한 사람의 격노로 인해 모든 것이 꼬이고 수많은 사람이 범죄자가 됐다"며 윤 대통령을 우회적으로 언급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