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일 기자
hyunillee1016@gmail.com | 2023-08-03 16:00:30
24명의 사상자가 난 청주 오송 지하차도 참사 관련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김영환 충북지사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종합계획을 내놨다.
그러나 지역에서는 오송 참사에 대한 김영환 충북지사의 책임론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오송 지하차도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이번 참사는 명백한 중대시민 재해"라며 "부실한 임시 제방을 설치한 행복청, 도로 통제 권한을 지녔지만 대응하지 않은 충북도, 미호천 범람 위기 상황을 인지하고도 방치한 청주시가 이번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형식적인 인사 조처로 단순히 꼬리 자르기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책임은 지지 않고 권한만 누리겠다는 단체장에게 유가족이 직접 책임을 묻고자 한다"며 김 지사 등의 처벌을 촉구했다.
진보성향 단체인 미래포럼은 오는 7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김 지사에 대한 주민소환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민소환제는 선출직 지방공직자의 임기가 끝나기 전에 국민의 투표로 파면을 결정할 수 있게 한 제도다.
광역단체장의 경우 해당 지자체의 주민소환투표 청구권자 총수의 10% 이상 서명을 받아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청구할 수 있다.
주민소환 투표에서 유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투표하고 유효투표 총수의 과반수가 찬성하면 파면이 확정된다.
한편, 김 지사의 고향마을인 괴산군 청천면 노인회 등 주민들은 이날 충북도청에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오송 참사 직전 김 지사의 행적을 둘러싼 추측성 보도가 난무하고, 정쟁화가 이뤄지고 있는데 이 같은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김 지사를 엄호했다.
김 지사는 "참사가 발생한 오송을 최고의 안전 도시로 만드는 구체적인 방안을 찾아 실행하는 한편 미호강의 생태환경을 지키면서 치수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 사고 재발의 근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송 참사를 백서로 기록해 처절한 반성 위에서 안전 충북을 만드는 자양분으로 삼겠다"며 "아울러 희생자 추모사업을 추진하면서 유가족과 도민이 참여하는 별도 조직 설립을 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