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 물러섬 없는 의사들 "전공의 수사중단과 증원 철회부터 해라"

황윤미 기자

sstpnews@gmail.com | 2024-09-13 16:23:23

▲의료 공백 사태가 우려되는 추석 연휴 (사진=연합뉴스)

 

의료계가 의정 갈등 해결을 논의할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는 것을 최종 거부했다. 

 

8개 의사단체는 13일 공동 입장문을 내고 "의료계와 대화를 바란다면 정부는 전공의 사직 관련 수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입장문 발표에는 대한의사협회(의협)·의협 대의원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대한의학회 등이 함께 했다.

최안나 의협 대변인은 협의체 불참을 공식 선언하며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인정하지 않으면 사태는 해결되지 않는다"며 정부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최 대변인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전날 '지금은 누가 옳으냐가 아니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해 이야기해야 할 때고, 협의체가 그 통로가 될 것이다'라고 말한 데 대해 적극 공감한다"면서도 "정부의 태도 변화가 없는 현시점에 협의체 참여는 시기상조라 생각한다"고 선을 그었다.

의료계는 전날 전공의 대표가 전공의 집단사직 공모 협의 관련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경찰에 출석한 데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최 대변인은 "전쟁 중에도 협상이 거론되면 총구를 거두는데, 정부는 아무 죄 없는 전공의들을 경찰서로 불러 망신을 주고 겁박한다"며 "이는 의료계에 대한 우롱"이라고 비난했다.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이 지연되자 한 대표는 의료단체 대표들에게 직접 전화를 돌리며 일일이 호소하기도 했고 의협 등 일부 의료단체가 참여 문제를 놓고 공감을 표하는 등 미묘한 기류 변화가 포착됐지만 결국 수포로 돌아갔다. 

의료단체 8곳은 협의 결과 '정부 태도 변화가 우선'이라고 협의체 참여 거부를 선언했기에 여야의정 협의체는 한동안 표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협의체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의 책임이 윤석열 정부에 있다고 걱을 세웠다. 

 

노종면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전날 한 총리가 '의료대란 때문에 국민들이 죽어 간다'는 지적에 "가짜뉴스"라고 대응한 점을 언급하며 "윤석열 정부가 이런 태도를 보이니 여야의정 협의체가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고 휘청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와중에 여당마저 '야당만 나서주면 협의체를 할 수 있다'며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의료대란을 해결할 의지도 능력도 없는 정부·여당"이라고 꼬집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