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우정 검찰총장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의 국립외교원 특혜 채용 의혹을 조사해달라며 심 총장과 외교부 관계자들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민주당 '심우정 총장 자녀 채용비리 진상조사단'은 오늘(17일) 오후 경기 과천시 공수처 청사에 고발장을 냈다.
고발 대상은 심 총장을 비롯해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국립외교원장을 역임한 박철희 주일본대사, 심 총장 자녀의 공무직 채용 과정에 참여한 평가위원들이 해당된다. | ▲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한정애, 박홍배 의원, 홍재희 서울 강서구 의원. 2025.6.17 (사진=연합뉴스) 진상조사단장인 한정애 민주당 의원은 국회에서 열린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심 총장 자녀가) 국립외교원에 채용될 당시 외교원장이었고 자녀의 대학 교수였던 박철희 주일대사가 직권을 남용해 채용 특혜를 제공했는지, 채용 과정에서 심 총장과 조태열 장관이 공모했는지 수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또한 "금전 보상을 받은 경우에만 경력으로 인정하라는 권익위원회 매뉴얼을 위반하며 (무급 인턴 경력 등을) 실무 경력으로 인정한 서류평가위원과 특혜를 준 면접 위원들도 수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상조사단 간사인 박홍배 의원은 "오늘의 고발과 공수처의 신속한 수사로 무너진 공정과 정의가 바로 세워지고 상처받은 국민들과 청년들이 위로받을 수 있길 간절히 소망한다"고 밝혔다.
올해 3월 한정애 의원은 심 총장 자녀가 국립외교원에 특혜 채용됐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 ▲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2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과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2025.4.24 (사진=연합뉴스) 외교부가 올해 1월 심 총장 자녀의 전공에 맞게 조건을 바꿔 채용 공고를 다시 내고, 경력이 기준에 미달하는데도 합격 결정을 했다고 한 의원은 주장했다.
심 총장은 당시 "근거 없는 의혹 제기"라며 자신의 자녀가 "대한민국 다른 모든 청년과 같이 본인 노력으로 채용에 임했다"고 반발했다.
외교부는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블라인드' 형식으로 채용이 진행됐고 시험위원 절반이 외부 인사들로 구성돼 특혜 제공이 불가능하다고 반박한 바 있다.
다만 논란이 확산하자 외교부는 채용을 유보하고 감사원에 공익 감사를 청구했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