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3-08-14 16:03:04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과거를 팔아 미래를 사겠다며 일본의 전쟁범죄에 면죄부를 줬다"면서 "윤석열 정권은 과거를 바로 세워야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믿음을 저버렸다"고 지적했다.
14일 이 대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위안부 문제의 해법을 촉구하는 한편,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제3자 변제 해법 등 현 정부의 대일 기조를 비판했다.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1991년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최초로 공개 증언한 날로, 2018년 국가 기념일로 지정됐다.
이 대표는 "32년 전 오늘 고 김학순 할머니께서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세상에 알리셨다"며 "침묵을 깬 용기는 역사를 바꿀 진실로 태어났다"고 했다.
이어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 이후) 일본이 저지른 만행에 대한 수많은 피해자의 증언이 잇따르고, 반인권적인 범죄를 근절하자는 국제적 합의로 한 발 한 발 나아갈 수 있었지만, 윤석열 정권은 역사적 정의의 전진을 거꾸로 거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강제동원 피해자분들의 존엄과 명예를 회복해 드릴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민주당은 위안부 할머님들의 용기를 본받아 역사의 퇴행에 결연히 맞서겠다"고 덧붙였다.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지난 3일 기자회견에서 "고노 담화의 취지는 구체적인 연구와 교육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며, 위안부 문제를 오래 기억해 반복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표명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군의 관여 아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상처를 입혔다는 역사 인식을 드러내고 깊은 상처를 입은 분을 대상으로 마음으로부터의 사죄와 반성의 뜻을 밝혔힌바 있다.
그러나 배상에 대한 언급이 없는 점, 그리고 고노 담화에 사용된 용어인 '종군 위안부' 대신 '위안부'를 쓰도록 하는 등 강제성을 희석해 온 것은 일본정부가 사실상 이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는 부분으로 해석된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