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5-02-11 15:59:26
윤석열 측이 11일 열린 7차 탄핵 심판 변론기일에서 또 '부정선거론'을 제기했다. 윤석열 측은 이날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7차 변론기일에서 신원식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에게 부정선거 의혹을 염두에 둔 듯한 질문을 이어갔다.
윤석열 측은 신 실장에게 "21세기 군사전문가들은 '하이브리드전'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의미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신 실장은 "전통적인 방식에 추가해서 정치공작이나 경제 침투,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여론 ·심리전 등 영향력을 망라한다"고 답했다.
이어 신 실장은 "공격 대상 목표가 전통적인 군사 및 정권뿐 아니라 일반 국민과 그 사회 규범을 대상으로 하고, 전시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고 시행 주체가 모호하기 때문에 발생해도 책임 소재를 묻기 어려운 점이 특징"이라고 부연했다.
윤석열 측은 "중국이 다른 나라 선거에 개입하는 사례가 전 세계 이슈"며 "한국 언론에서는 많이 이슈가 되지 않았만, 중국이 타국 선거에 개입하는 정치 공작, 가짜뉴스를 이용한 인지전, 여론전 등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느냐"라며 중국의 선거 개입 사례를 거론했다. 신 실장은 "네, 그런 보도를 본 적 있다"고 짧게 답했다.
윤석열 측은 이어 "중국이 외국에서 활동하는 기업과 체류 교민, 유학생 통해서 친중 정치인에게 자금을 제공하거나, 선거 관련 허위 뉴스를 퍼트리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타국 정치에 개입하는 사례가 발생하는데 알고 있느냐"고 질문했고 신 실장은 "해외에서 그런 적 있다고 하는 보도를 본 기억은 있다"고 답했다.
이어 "중국이라면 한국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선거 개입 시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는 질문에, 신 실장은 "가정을 전제로 한 질문은 외교에 영향 미칠 수 있기에 답변하지 않겠다"고 말을 아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