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5-02-19 15:18:3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반도체와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하고서 관세가 최소 25%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사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관세를 어느 정도로 부과할 것이냐는 질문에 "난 아마 여러분에게 4월 2일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서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다. 관세는 1년에 걸쳐 훨씬 더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하지만 우리는 그들(기업들)에게 (미국에 투자하러) 들어올 시간을 주고 싶다. 그들이 미국으로 와서 여기에 공장을 세우면 관세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들에게 약간의 기회를 주고 싶다"고 덧붙였다.
이는 관세를 4월 2일이나 발표 시점 이후 곧바로 부과하기보다는 관세 발효까지 일정 시간을 둬 기업들이 생산거점을 미국으로 옮길 수 있는 시간을 어느 정도 허용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 단계별로 관세를 올려 기업들에 대한 압박 강도를 점차 높여가겠다는 의도를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 공장을 짓는 기업들에는 면세 혜택을 줄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업들에게 시간을 주려 한다"며 "미국에 공장을 짓는 계획이 있다면 관세가 없는 만큼 기회를 주려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국가별로 관세를 면제할 지, 기업별로 혜택을 줄 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지만 관세 정책을 통해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고 공장을 만들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대기업들로부터 연락을 받았고, 관세 정책 때문에 그들은 미국으로 돌아오길 원한다"며 반도체, 자동차 등과 관련한 기업들이 조만간 미국 내 투자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바이든 정부 때 미국 투자를 결정해 반도체지원법(칩스법)에 따른 보조금 지급과 함께 반도체 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미국에 총 370억 달러(53조원)을 들여 공장과 각종 연구개발(R&D)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미국 정부로부터 이들 사업에 47억4500만 달러(6조8000억원) 보조금을 받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텍사스주 파운드리 공장 2곳, 연구개발 시설 등을 건설하고 2026년부터 4나노 이하 첨단 공정 양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공사 진행률은 60%를 넘어섰고 지난해 4월에는 지역 투자와 관련한 공개 행사를 갖기도 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 달러(5조원)를 들여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기지를 건설해 차세대 HBM을 비롯한 AI 메모리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다.
제품 양산 시점은 2028년이며 인허가 등 공장 설립을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트럼프 압박이 현실화되고 있지만 사실 개별 기업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며 "불확실성이 큰 만큼 향후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