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
ljw7673@hanmail.net | 2022-04-04 14:50:20
이어 그는 “청와대에서는 이와 관련해 현재 입장에서 그 언론보도를 확인해 드릴 수 있는 내용이 없다”며, 거듭 “오늘 내용을 좀 봐야 된다는 뜻”이라고 해명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대우조선해양 ‘알박기’ 인사 주장에 대해서는 “이 인사에 대통령이 임명한 바도 없고 선출에 일체 관여한 바도 없고, 관여할 수도 없다”고 반박하며 해당 의혹 제기에 거듭 말했다.
그러면서 박 수석은 “그 안건이 상정이 되도록 정부 부처를 통해서 상정이 돼 봐야 알 수 있는 내용이지 실무 협의 간에 나누는 이야기가 언론에 보도된다는 자체가, 맞지 않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인수위와 국민의힘 측이 박두선 신임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의 동생과 대학 동창인 점을 문제 삼아 대통령을 끌어들인 데 대해 박 수석은 “외람되지만 한 말씀 드리면 당선인께서 나오신 대학의 동창들, 동문들은 그러면 새 정부에 하나도 기용 못 합니까?”라고 반문했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하면 그것이 알박기고 낙하산입니까? 저희가 그렇게 이야기하면 어떻게 할거냐”며 “제가 이렇게 강하게 말씀드리는 것은 관여 하지도 않았고, 할 수도 없는 일을 했다고 하니 하도 답답해서 드리는 말씀”이라고 심경을 밝혔다.
그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청와대가 국민께 이렇게 설명을 드리고 있는데 자꾸 말꼬리를 잡고 신구권력의 충돌이라고 언론이 쓰게 만들고 이게 바람직한 일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기를 마치고 물러나는 대통령에게 어떻게 보면 망신주기식, 이런 식을 자꾸 하는 것은 새 정부가 가야 될 그 바쁜 발걸음을 생각하면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박수현 수석은 최근 영부인 옷값 논란에 대해서는 '영부인 옷값논란, 도가 지나치다"라고 말했다. "영부인이 국가적행사에 쓴 비용을 사비로 썼다면, 잘했다고 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 언론의 제목을 보면, 현찰, 직원이 옷을 찾아서 란 말을 하지 않습니까? 이 문제는 카드냐, 현금이냐의 문제가 아니라, 사비로 썼다는 것이 중요 한 것".
"대통령이 특활비를 적게 쓰고 혹은 안쓰고 사비로 쓰면, 그만큼 생활비가 많이 든 다는 역설 아니겠습니까?" 그리고 대통령과 부인의 위치가 아니었으면, 굳이 지출하지 않아도 될 돈이 많다. 생활비가 더 들 이유가 없었을 것이다." 라고 말하며 , 대통령 업무로 인해 개인적 사비를 더 많이 쓰고 있는 경우라고 강조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