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미 기자
sstpnews@gmail.com | 2024-09-12 14:23:22
전라남도가 국립의대 1곳과 대학병원 2곳을 설립하는 추천안을 마련했다.
국립의대 및 대학병원 신설 정부 추천대학 선정 용역기관인 에이티커니코리아와 법무법인 지평 컨소시엄은 12일 전남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용역기관은 도민공청회 6회, 여론조사, 대학 설명회 등 대학, 도민, 전문가 등 지역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의과대학 선정 후 동·서부 지역에 2개의 대학병원을 신설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의대 입학정원은 2026학년도 타 지역거점 국립대학의 의대 정원 규모를 고려하되 지역의 의료인력 수요를 감안해 200명 내외로 했다.
또 대학병원은 총 1천~1천200병상(한 곳당 500∼600명) 규모로 상급종합병원 수준으로 설립하되 병원별 구체적 규모는 대학에서 자율로 정하도록 하고, 각 대학병원은 양 지역 특성에 맞춰 특화 진료영역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소요 예산은 1천병상 기준 7천억원가량으로, 타 대학병원 신설 사례 등을 적용해 통상적으로 국가가 20~25% 지원하고, 나머지는 대학이 부담한다.
용역기관은 공청회 등 의견수렴 과정과 일부 순천지역 정치권에서 제안한 공동의대 방식의 경우 순천대와 목포대가 대학통합을 전제로 공동의대 확약서를 제출하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이날 별도 기자간담회를 갖고 "공동의대가 지역 간 갈등을 최소화할 방안으로 양 대학이 공동의대 확약서를 제출하면 용역기관 추천안과 공동의대 안을 투트랙으로 검토해 용역기관 추천안은 폐기하고 공동의대 설립안을 정부에 추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하지만 양 대학이 확약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용역기관 추천안을 정부에 추천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공동의대의 경우 전남도가 공모에 앞서 검토했던 방식으로 대학내 구성원들의 반발 등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폐기하고 공모 방식을 채택했었는데, 전남도가 다시 공동의대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데 대한 일관성 논란도 예상된다.
통합 이후, 대학 입장에서는 의대뿐 아니라 약대, 간호대 등 중복 학과의 통폐합, 구조조정 문제와 의대 소재지를 순천과 목포 중 어디에 둘지 등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의대 정원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정부가 전남에 '한시적'이긴 하지만 2개 의대 설립을 '선물'해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나오는 상황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