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3-08-24 13:48:50
일본이 24일 오후 1시경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개시했다.
하루 배출량은 460~500톤 정도로 후쿠시마 제1원전에는 이미 약 134만t의 오염수가 1천여개의 대형 탱크에 들어 있다. 여기에 현재도 원전 부지로 유입되는 지하수와 빗물 등으로 인해 오염수는 추가로 발생하고 있다.
일본은 오염수 방류가 대체로 30년가량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기간을 확언하기는 어려운 이유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오염수를 보관할 탱크가 시간이 갈수록 늘어나는 만큼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상황었고 계획대로 2041∼2051년에 사고 원전 폐쇄를 진행하려면 오염수 처리가 시급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바다로 방사성 오염수를 방류한다는 계획은 이제까지 없던 환경 오염, 재앙을 불러 올 수 있다는 점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높다.
실제 일본 내에서조차 당시 일본 정부의 해양 방류 결정이 나온 뒤 민간 단체 등이 "바다를 핵 쓰레기장으로 만들겠다는 얘기"라며 반대 운동에 나섰고 현재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본 정부는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삼중수소를 제외한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고 제거가 어려운 삼중수소는 바닷물로 희석해 국제기준에 맞는 농도로 방류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불신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아사히 신문이 이달 19∼20일 1천42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해양 방류에 반대한다는 응답자가 41%로 '찬성'(53%)보다는 적었지만 상당수에 이르렀다.
여기에는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원전 사고와 그 후 대응 과정에서 보여온 미숙함과 이로 인해 쌓인 불신감이 반영돼있다.
도쿄전력은 2014년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정황을 파악하고도 이를 장기간 공표하지 않아 불리한 사실을 은폐했다는 지적을 산 바 있다.
당시 도쿄전력은 '원인 규명에 신경을 쓰다 보니 적시에 공표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변명한 바 있다.
또, 2021년 2월에는 후쿠시마에 규모 7.3의 강진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도쿄전력이 고장 난 지진계를 방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위험 관리 태세에 대한 의문을 키우기도 했다.
중국은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에 가장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 오염수를 세계 각지에서 통용되는 원전의 정상 가동을 통해 나온 배출수와 같이 놓고 말하는 것은 개념을 교묘히 바꾸고 여론을 오도하는 것"이며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반대하고 있다.
중국은 원전 사고로 녹아내린 원자로 노심과 직접 접촉한 '오염수'와, 원자로 노심과 직접 접촉하지 않은 원전의 정상적인 '배출수'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논리로 반박하고 있다.
중국과 홍콩은 이미 일본을 상대로 압박에 들어갔다. 중국은 일본의 최대 농림수산물·식품 수출 시장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7일 오염수의 해양 방류가 식품에 미칠 영향을 주시한다며 "적시에 일체의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곧이어 일본산 수산물에 대해 전면적인 방사선 검사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결국 횟감 등 일본산 수산물은 신선한 상태로 통관이 어려워지면서 사실상 수입 규제를 받고 있다.
중국 해관총서(세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이 지난달 수입한 일본산 수산물 가운데 횟감 등으로 사용되는 생선(토막 친 형태는 제외)은 약 2천263만 위안(약 41억원)어치로 전월보다 53%, 작년 동월보다 54% 각각 줄었다.
전체 수산물로 봐도 일본산 수입은 30%가량 감소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