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청년들 좀 뽑아달라”…대기업, 청년 채용 확대 ‘화답’

이재명 대통령 요청에 삼성·현대차·SK·LG 등 주요 그룹이 대규모 청년 채용 계획 발표
삼성, 5년간 6만 명 채용...현대차, 내년 1만 명...포스코, 5년간 1만5천 명 신규 고용 예정
정부, ‘청년 일자리 캠페인’으로 확대...100대 기업까지 참여 독려 방침

이종원 기자

ljw777666@gmail.com | 2025-09-20 17:35:19

▲ 이재명 대통령이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 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9.19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직접 대기업 총수들에게 협조를 요청한 결과, 삼성·현대차·SK·LG·포스코 등 주요 그룹이 앞다퉈 신규 채용 계획을 내놓고 있다. 대통령실은 이번 움직임을 계기로 100대 기업까지 참여를 확대해 ‘청년 일자리 캠페인’으로 발전시킬 방침이다.

이 대통령은 19일 서울 마포구 구름아래 소극장에서 열린 **‘2030 청년 소통·공감 토크콘서트’**에서 “대기업 회장님들에게 청년들을 좀 더 뽑아달라고 읍소와 부탁을 했다”며 “다행히 받아들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행사에는 청년 150여 명이 참석해 취업·주거·결혼·육아 등 현안을 두고 대통령과 직접 의견을 나눴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같은 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요청에 화답해 현재 8개 기업이 올해 약 4만4천 명 규모의 신입 채용 계획을 발표했다”며 “향후 30대, 더 나아가 100대 기업까지 청년 고용 확대를 독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 5년간 6만 명 신규 채용…“세상 바꿀 인재 모셔오겠다”

삼성그룹은 향후 5년간 6만 명을 새로 채용한다고 발표했다. 연평균 1만 명이던 채용 규모를 20% 늘려 매년 약 1만2천 명을 뽑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AI·반도체·바이오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인재를 집중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위기일수록 인재에 더 투자해야 한다”는 철학을 강조해왔으며, 이번 발표도 그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삼성은 청년 대상 소프트웨어·AI 교육 프로그램인 SSAFY(삼성 청년 SW·AI 아카데미)도 ‘2.0’ 버전으로 개편해 AI 과정 비중을 60%로 확대했다.


▲ 청년취업박람회 (사진=연합뉴스)
현대차·SK·LG·포스코·한화·HD현대도 대규모 고용

삼성이 대규모 채용 계획을 발표하며 신호탄을 쏘아 올리자, 재계 전반에서도 일제히 청년 채용 확대 방안을 내놓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올해 7,200명에 이어 내년에는 1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혔으며, 청년 인턴십 규모도 현재보다 두 배로 늘릴 예정이다. SK그룹은 연간 8,000명 채용을 목표로 AI·배터리 등 미래 기술 분야 인재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AI 발전을 위해서는 10만 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채용 확대의 필요성을 직접 설명했다.

LG그룹은 향후 3년간 1만 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바이오·클린테크·AI를 핵심 분야로 지정했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채용 인원을 기존 계획보다 400명 늘려 3,000명으로 확대하고, 앞으로 5년간 1만5,000명의 청년 인력을 추가로 뽑을 예정이다. 

 

한화그룹은 올해 하반기에만 3,500명을 신규 채용하겠다고 밝혔고, HD현대그룹 역시 향후 5년간 1만 명의 고용을 창출하겠다고 나섰다. GS그룹도 내년까지 매년 4,000명씩 신규 채용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하며 대열에 합류했다.


‘청년 주간’ 맞춰 정부·재계 원팀…일자리 체질 변화 기대


대통령실은 이번 대기업 채용 확대가 “정부와 기업이 원팀이 되어 청년 고용 문제를 해결하는 상징적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번 주가 ‘청년 주간’으로 지정된 가운데, 재계가 적극 호응하면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IT기업들이 감원에 나서는 상황에서 한국 대기업들이 오히려 청년 채용을 늘린 점에 주목한다. 한 재계 관계자는 “AI와 기술이 일자리를 위협하는 시대에, 국내 기업들은 오히려 인재 영입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택했다”며 “이 흐름이 한국 경제 체질 개선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