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5-07-18 13:10:02
당초 대통령실은 일부 후보자에 대한 의혹 제기를 야당의 '정치 공세'로 규정하며 정면 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나 인사청문회를 거치면서 기류는 급격히 냉각됐다. 후보자들이 제기된 의혹을 명쾌하게 해소되지 않았고, 일부는 새로운 논란이 불거지거나 불성실한 태도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이진숙 후보자는 과거 논문 표절 및 중복 게재 의혹에 대한 소명이 미흡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강선우 후보자 역시 자녀의 국적 및 학폭 관련 의혹, 과거 발언 등이 재조명되며 도덕성 논란에 휩싸였다. 청문회 과정은 이들의 직무수행 능력과 자질에 대한 국민적 의구심을 키웠고, 이는 비판적인 여론으로 이어졌다.
그는 '강 후보자에 대해 자진사퇴로 기류가 기울었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아직 지침을 준 게 없다"며 공식 부인했지만, 여론이 가라앉지 않는 후보가 있다는 점은 인정하며 고심이 깊음을 내비쳤다.
야당인 국민의힘이 두 후보를 포함해 6명을 '무자격 6적'으로 규정하고 총공세를 펴는 것에 대해 우 수석은 "너무 정쟁 수단으로 삼지 않았으면 한다"고 비판하면서도, 악화된 여론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두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감지되는 등, 여야를 막론하고 '임명 불가론'이 제기되는 점이 대통령의 결단에 가장 큰 압박 요인이 될 전망이다.
결국 공은 인사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에게 넘어갔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 집권 초부터 국회와의 극심한 대립은 물론, '불통'과 '오기 인사'라는 비판에 직면하며 국정 동력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다. 반면 지명을 철회할 경우, 인사 검증 실패에 대한 책임을 피할 수 없어 '인사 참사'라는 비판과 함께 정권 초기 리더십에 상처를 입게 된다.
우상호 수석이 "가족 반대로 장관 지명에 응하지 않는 분이 늘어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며 인사청문회 제도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은, 어떤 결론이 나든 대통령실이 받을 정치적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이 비판 여론을 수용해 두 후보자의 거취를 정리하고 국정 운영의 부담을 덜어내는 '정무적 판단'을 내릴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번 주말, 이 대통령이 내릴 첫 장관 후보자 거취 결단은 향후 정국의 방향을 가늠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