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요미우리 공동 여론조사 결과 (이미지=시사타파뉴스) 이같은 정부의 강경대응 기조엔 과거 야당의 광우병과 사드 괴담에 저자세로 대응하다 오히려 일을 키웠다는 경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여당과 정부의 대응이 여론을 바꿔 놓을지는 의문이다.
요미우리신문과 한국일보가 지난달 26일부터 사흘간 18세 이상 한국인 1천 명과 일본인 1천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일본 국민은 찬성하지만 한국 국민은 적극 반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일본 정부가 올해 여름으로 예고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대해 한국 국민은 84%가 반대했고 찬성은 12%에 그쳤다. 반면 일본 국민은 찬성이 60%로 반대 30%의 배에 달했다. 한국일보는 "한국의 경우 30~39살의 반대(94.4%)가 가장 거셌고 60살 이상도 73.3%가 반대했다며 “모든 세대와 성별에서 절반 이상이 방류에 찬성했던 일본과는 대조적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가 환경운동연합 의뢰로 지난달 19일부터 22일까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 찬반을 물은 결과도 결과는 대동소이하다. 응답자 85.4%가 ‘반대한다’고 답했고 ‘찬성한다’는 10.8%에 그쳤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다.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성에 대한 일본 정부 주장에 대해서도 결과는 비슷했다. 응답자 79%가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신뢰한다’는 17%뿐이었다. 오염수 해양 방류 시 수산물 소비 의향을 물은 결과 ‘줄어들 것’이라는 답은 72%, ‘변화 없을 것’이란 답은 16.1%, ‘늘어날 것’이란 답은 11.6%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