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5-09-26 13:20:14
국민의힘과 일부 언론은 이재명 대통령의 트럼프 만찬 불참을 두고 “왕따 외교”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이 대표기자는 “대통령은 외교 라인을 통해 사전에 불참 의사를 전달했고, 대신 미국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과 만나 한국의 입장을 설득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의 대규모 투자 요구에 대해 “한국은 기축통화국이 아니고 통화스와프도 없다. 무리한 투자는 탄핵 사유가 될 수 있다”는 입장을 전달했으며, 미 재무장관과 만나 통화스와프 필요성을 강조하고 월가 주요 인사들과 투자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임명식에서 “독립된 재판을 통해 헌법적 사명을 수행한다”고 밝혔지만, 이 대표기자는 “정의로운 재판이 빠진 독립은 궤변”이라며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법부 문제 사례로 ▲‘초코파이 절도 사건’ 같은 비상식적 판결 ▲독재 정권 시절 인혁당 사건 등 권력의 하수인 역할 ▲‘유전무죄, 무전유죄’ 관행 ▲오석준 대법관 부당 판례 등을 언급했다.
또 “판사 임용은 최소 10년 이상 변호사 경력을 가진 사람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이해하는 판결, 국민 배심원제 등 참여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만석의 검찰 ‘헌법기관’ 주장은 궤변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은 “검찰은 헌법기관”이라고 주장했지만, 이 대표기자는 “헌법에 언급된 ‘검사’는 영장주의 장치일 뿐, 검찰 신분 보장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이어 “검찰만이 영장 청구권을 독점하지 않는다. 검찰이 스스로를 4권 분립 기관이라 여기는 것은 오만”이라고 날카롭게 지적했다.
또한 “검찰 개혁은 국민의 오랜 요구이며, 수사권은 반드시 분리돼야 한다. 경찰 개혁은 그다음 과제”라고 덧붙였다.
언론 프레임 속 검찰·사법 개혁 과제와 향후 전망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