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모든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서 20대 실질소득 증가율이 연 1.9%에 그쳤다고 밝혔다.
▲ 세대별 월평균 실질소득 (제공=한경협) 연령대별 실질소득 증가율은 30대 3.1%, 40대 2.1%, 50대 2.2%, 60대 이상 5.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는 최근 5년(2019~2024년) 증가율이 연 1.1%로 과거 5년(2014~2019년, 2.6%) 대비 절반 수준으로 둔화했다.
한경협은 20대 실질소득 증가율이 낮은 이유로 고용의 질적 저하와 체감물가 상승을 지목했다. 20대 근로소득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전 세대 중 최저였으며, 비정규직 비율이 32%에서 43.1%로 늘어나 고용의 질이 떨어졌다. | | ▲ 청년층 주요 소비지출 항목 (제공=한경협) 또 체감물가 상승도 실질소득 증가율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20대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9~2024년 연 4.0%로 소폭 상승했지만, 체감물가 상승률이 연 2.8%로 2배 이상 뛰면서 실질 소득 증가 효과를 상쇄했다. 특히 외식·숙박비가 주요 부담 요인으로 꼽혔다.
한경협은 “청년층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 질 제고와 외식 물가 안정화 정책이 필요하다”며 “할당관세 및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부담을 줄이고,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