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일 기자
hyunillee1016@gmail.com | 2023-08-30 07:00:35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국방부가 해병대 고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시킨 배경에는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29일. 박 대령이 작성해서 용산구 국방부 검찰단에 제출한 사실관계 진술서에 따르면 김계환 해병대사령관과 박 대령은 지난달 30일 오후 4시30분께 이종섭 국방부 장관에게 경북경찰청에 이첩해야 할 수사 결과를 보고했다.
이튿날인 7월 31일 정오께 언론 브리핑을 위해 국방부 근처에 대기하던 중 김계환 사령관이 급하게 전화해 "언론 브리핑이 취소됐다"며 부대 복귀를 지시했다고 한다.
이어 국방부 대변인이 해병대사령부 공보정훈실장에게 전화해 "취소 사유에 대한 논리를 개발하라"고 했고, 공보정훈실장이 "국방부 지시로 취소됐다고 하겠다"고 하자 대변인은 "절대로 안 된다"며 막았다고 한다.
같은 날 오후 3시18분께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이 박 대령에게 전화해 사건 서류에서 "혐의자와 혐의 내용을 다 빼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제목을 빼라"고 했다고 한다.
이에 박 대령이 김계환 사령관에게 "도대체 국방부에서 왜 그러는 것입니까"라고 질문하자, 김 사령관은 "오전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간 1사단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되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박 대령이 "정말 VIP가 맞습니까?"라고 묻자 김 사령관은 고개를 끄덕이며 맞는다고 했다고 진술서에 명시됐다.
국방부 검찰단은 박 대령의 진술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이날 경기도 화성 해병대사령부를 방문, 사령관을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