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타파뉴스
sstpnews@gmail.com | 2025-06-02 09:11:03
정부는 제주4·3을 1947년부터 1954년까지 발생한 국가 공권력에 의한 민간인 집단 희생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4·3 희생자 중 다수가 여성, 노약자, 어린이였으며 무장과 무관한 민간인들이었다.
제주4·3특별법 제2조와 공식 진상조사보고서에는 ‘국가에 의한 폭력’, ‘무고한 민간인의 희생’이란 표현이 분명히 명시돼 있다.
따라서 김 후보의 주장은 법률과 정부 보고서 모두에 배치되는 주장으로, 도민사회에서는 “역사적 명예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는 반발이 일고 있다. 또한 이를 ‘공산 폭동’으로 규정한 것은 유족에게 또 다른 낙인을 찍는 행위라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민주당 제주도당 4·3특위는 논평에서 “김 후보는 유족과 도민의 거듭된 사과 요구를 묵살하고 있다”며 “제주 방문 하루 전까지도 입장을 철회하지 않고 유세를 강행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특위는 “4·3 유족들은 수십 년간 ‘폭도의 자식’이라는 낙인 속에 살아야 했고, 이제서야 국가가 진실을 바로잡기 시작했는데, 대선후보가 이를 부정하며 다시 상처를 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2일 오전 제주시 동문시장에서 공식 유세를 시작하기에 앞서, 제주4·3평화공원을 참배할 계획이다.
참배 일정이 알려지면서, 과거 김 후보가 “제주4·3은 공산폭동”이라고 규정했던 발언에 대해 현장에서 입장을 밝힐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김 후보 측은 참배 전까지도 과거 발언에 대한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으며, 현장에서 이 사안에 대한 언급이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