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윤계 “한동훈 위원장이 선을 넘었다” 비판 제기

곽동수

kdstv2019@gmail.com | 2024-01-22 00:18:56

▲윤석열 대선후보 시절 한동훈 검사와 인사 나누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결국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은 '김건희 리스크'라는 여섯 글자였다는 주장이 친윤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한 위원장이 김 여사 의혹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서 생각할 문제”라고 언급한 부분에 대해 불쾌감을 표했다. 

 

지난 19일 이 발언을 하기 전날에도 “전후 과정에서 분명히 아쉬운 점이 있고, 국민들이 걱정하실만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는 표현에 대해 친윤계에서는 “한 위원장이 선을 넘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항공모함이면, 한 위원장은 함재기에 불과하다”면서 “한 위원장이 전국을 순회하면서 ‘대권병’에 걸렸다는 얘기가 친윤계 사이에서 은연중에 나돌았다”고 말했다.

 

사실 이는 여당 내부에서 나오는 이야기일 뿐이었지만 이런 표현이 바깥으로 드러난 것은 그동안 표출되지 않았던 문제들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친윤계 핵심 의원은 “한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사퇴 요구 보도가 나오자 ‘국민 보고 나선 길, 할 일 하겠습니다’라는 밝힌 것은 사실상 윤 대통령과의 결별 선언”이라며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 관계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으로 보는 게 맞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다른 친윤계 의원은 “한 위원장이 ‘마이 웨이’ 의지를 드러낸 상황에서 윤 대통령은 한 위원장 얼굴로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승리하더라도 ‘우리 편’의 승리가 아니라는 생각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때문에 친윤계 의원들이 한 위원장의 사퇴를 밀어붙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국민의힘 당헌·당규에 따르면, 비대위원장의 경우 별도의 사퇴 절차가 없어 의원총회가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비대위원장은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 한 별도의 사퇴 절차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의원총회에서 한 위원장에 대한 ‘신임 투표’를 통해 사퇴 여부를 결론을 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원내대표가 필요하다고 인정하거나, 재적의원 10분의 1 이상 요구가 있는 등의 경우 의원총회를 열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총선이 79일 남은 상황에서 이 같은 의원총회 소집요구가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 소속 의원이 113명이기에 12명 이상의 요구가 있으면 윤재옥 원내대표가 직접 의총을 소집하지 않더라도 의총 개최가 가능한 상황이지만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과 윤 원내대표, 한 비대위원장이 함께 자리를 했다는 소식이 알려진 이상 월요일의 전개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 정치권의 전망이다.

 

한편, 대통령실이 사실상 여당 대표의 사퇴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서는 한 위원장의 '사천' 논란과는 별도로 법적 해석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조국 전 법무부장관은 명백한 월권이라면서 법적으로 조치를 취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